아스파탐은 저칼로리 인공 감미료로 다양한 식음료 제품에 설탕 대용으로 흔히 사용됩니다.
그것은 1981년에 미국 식품의약국에 의해 처음 사용 승인을 받았고 그 이후로 감미료로 인기를 얻었습니다.
아스파탐은 두 개의 아미노산, 즉 페닐알라닌과 아스파르트산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들은 단백질이 풍부한 많은 음식에서 발견되는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화합물입니다.
그것은 설탕보다 약 200배 더 달기 때문에 같은 수준의 단맛을 얻기 위해 훨씬 적은 양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아스파탐의 주요 이점 중 하나는 칼로리가 낮다는 것입니다.
설탕보다 훨씬 단맛이 강하기 때문에 원하는 단맛을 얻기 위해서는
아주 적은 양만 있으면 되므로 설탕을 섭취하는 것에 비해 칼로리 섭취량이 현저히 줄어듭니다.
이러한 측면으로 인해 아스파탐은 전체 칼로리 소비를 줄이거나
체중을 관리하려는 사람들에게 인기 있는 선택이 되었습니다.
게다가 아스파탐은 구강 세균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당으로 분해되지 않기 때문에
충치에 기여하지 않습니다.
이것은 많은 무설탕 껌, 사탕, 그리고 치과 제품들에게 유리한 선택이 되게 합니다.
그러나 아스파탐이 모든 사람에게 적합한 것은 아닐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페닐케톤뇨증(PKU)이라고 불리는 희귀한 유전 질환을 가진 사람들은
그들의 몸이 페닐알라닌을 적절하게 대사할 수 없기 때문에 아스파탐을 피해야 합니다.
PKU는 페닐알라닌의 해로운 수준의 축적으로 이어져 다양한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스파탐이 함유된 식품 및 음료 제품에는 페닐케톤뇨증에 대한 경고 라벨이 포함되어야 합니다.
최근 특히 논란이 되는것은 아스파탐이 발암가능물질로 분류된 부분이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기관인 국제암연구소(IARC)가
발암가능물질로 분류하고, 아스파탐의 고용량 또는 장기 복용을 삼가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대한당뇨병학회(학회) 또한 지난 13일
"인공 감미료의 고용량 또는 장기적 사용을 권고하지 않는다"는 내용의
'비영양감미료 사용에 대한 의견서'를 발표했다.
비영양감미료란 감미료 중 단맛은 강하면서도 열량과 탄수화물 함량이 적거나 매우 낮은 제품을 말한다.
학회의 주장에 따르면 당뇨병환자가 설탕이나 시럽 등의 첨가당 섭취를 줄이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
첨가당을 점진적으로 줄일 목적으로 단기간 비영양감미료 사용을 제한적으로 고려해 볼 수는 있다"면서
"하지만 비영양감미료의 고용량 또는 장기 사용은 현 시점에서는 권고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는 비영양감미료의 혈당개선·체중감량 효과, 안전성이 충분히 검증되지 못해서다.
궁극적으로 당류가 포함된 식품뿐만 아니라 비영양감미료가 포함된 식품 섭취도
함께 줄여 나가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한다.
학회가 이 같은 의견서를 낸 것은 IARC와 식품첨가물 전문가위원회가
14일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물질 2B군으로 지정하기로 예고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아스파탐은 설탕보다 200배 강한 당도를 보이며 설탕 대체재로 사용되고 있는데
최근 칼로리 '제로'(0kcal) 식음료 등에 널리 쓰이고 있다.
IARC는 체외실험과 동물실험,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역학적 연구 등을 기반으로 발암 요인의 발암성을 평가한 뒤 4개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인간에게 암을 유발하는 것이 확실한 1군,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개연성이 높은 2A군,
인간에게 암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는 2B군,
인간에 대한 발암성을 분류할 수 없는 3군 등으로 나뉜다.
14일 발표된 내용을 보자면,
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와 WHO·유엔식량농업기구(FAO) 공동 산하기구인 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는
아스파탐 유해성 평가 결과를 담은 보도자료를 내고 발암가능물질 분류군인 2B에 아스파탐을 포함한다고 밝혔다.
또 일일섭취허용량을 체중 1㎏당 40㎎으로 재확인한다고 발표했다.
"아스파탐이 인간에게 발암 위험을 초래하는지를 따지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며 이번 연구의 한계점을 짚었다.
그러나 WHO는 아스파탐 과다섭취가 건강에 안전하지 않다는 점은 분명하다고 지적했다.
프란체스코 브랑카 WHO 영양·식품안전국장은 보도자료 발표 전 취재진을 상대로 연 기자회견에서
"아스파탐은 많은 식품에 흔하게 들어 있으며 과다섭취에 대한 우려가 있다는 점을 분명히 말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식품회사들이 아스파탐을 대체할 다른 감미료를 찾는 방안도 고려하지 말라고 조언하고 있다"며
"감미료를 사용하지 않고도 여전히 맛있을 수 있도록 제품의 제형이나 성분 선택을 바꾸기를 권한다"고 덧붙였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바우처 신청 방법? (0) | 2023.06.09 |
---|---|
청년도약계좌에 대해서 알아봐요 (가입조건,중도해지) (0) | 2023.06.08 |